광주역사민속박물관, 일상의 소품 전시회 ‘안경 이야기’ 개최 

- 12월말까지, 안경·화보 등 유물 전시

 

광주역사민속박물관은 3일부터 1231일까지 박물관 1층 로비에서 현대인의 일상소품인 안경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작은 전시회 ‘안경 이야기’를 개최합니다.

 

더 많은 정보는 아래 내용을 살펴보세요.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시대와 한말의 안경, 수정을 깎아 만든 안경알, 안경다리를 두 번 접을 수 있는 안경인 ‘학슬’, 상어가죽으로 감싼 안경집 ▲조선풍속사진첩, 파리만국박람회 화보, 안경을 쓴 채 외국인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노인을 그린 화보 등 안경 변천사와 일화 등이 소개됩니다. 이들 전시물은 최근 시민들이 기증하거나 올해 박물관이 자체 구입한 유물들입니다. 

 

<조선풍속사진첩중 안경 쓴 훈장님(1900년 초 추정).  광주역사민속발물관 제공>

 

우리나라에서 안경은 임진왜란을 전후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1580년대 나주목사를 지낸 김성일이 사용했다는 안경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안경알을 유리로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18세기 전라도 사람 황윤석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엔 수정을 깎아 안경알을 만들었습니다. 당시 안경은 유리가 아닌 수정으로 만들다보니 초기 안경은 돋보기 기능이 떨어져 기능상 요즘의 선글라스에 가까웠을 것이란 의견도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조선시대에는 안경을 바람과 햇빛을 막는다는 뜻으로 풍안(風眼)이라 불렀습니다. 

 

 

‘안경 예절’이란 것도 있었습니다. 연장자나 지체 높은 사람 앞에서는 안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간혹 이런 예절을 어긴 사람이 있었습니다. 헌종 때 이조판서 조병구는 안경을 쓴 채 궁궐에 들어갔습니다. 그런 모습을 본 헌종 임금은 그에게 불호령을 내렸고 조병구는 그 뒤 심신쇠약으로 죽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정조 임금도 평소에는 안경을 쓰다가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는 반드시 안경을 벗곤 했습니다. 

 

<안경(20세기 초 추정).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제공>

 

한말 이후 안경 사용인구가 조금씩 늘었습니다. 유리 안경알도 이때부터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초기 유리알 안경은 비쌌습니다. 미국 선교사 제임스 게일에 의하면, 안경 한 개 값이 15달러였습니다. 쌀 몇 섬 값에 해당하는 고가였던 셈인데요. 하지만 값싼 안경이 늘면서 안경 착용도 증가했습니다. 1920년대 영국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는 안경 쓴 한국인 노인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겼습니다. 예스러운 복장이나 길게 기른 수염을 빼면 요즘 한국인과 별반 달라 보이지 않습니다. 일상의 소품으로 안경이 자리를 잡아 가고 있었던 것이지요.

 

안경의 지나 온 발자취를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찾아보시죠..

 

 

 

관련글 더보기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