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가 되는 법
-pd? 알고는 있는가?
왜 당신은 PD가 되고 싶은가?
막연한 꿈? 그냥 좋아서?
PD라는 뜻은 Producer(프로듀서)라는 것을
줄여서 쓰는 말입니다. 피디라고 하죠.
이 pd라는 직업이 막연히 좋아했다간
큰 코 다칩니다. 왜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화려한 직업이 아닙니다.
소위 스타pd라 하면
무한도전의 김태호PD(MBC)
윤식당의 나영석PD(tvN) 등을 꼽을 수 있는데요.
이 스타PD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건 아닙니다.
정말 PD로서의 자부심과 자긍심이 없으면
그냥 동경하거나 바라만 보십시요.
여러분이 생각한 PD의 길은 그렇게
호락호락하거나 화려하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PD가 되고 싶으신 분들은
지금부터 설명을 잘 들어보세요.
PD는 간단히 말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회의 정보와 의미, 또는 즐거움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해주는
전령사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입니다.
PD는 매너리즘에 빠지는 순간,
그 생명을 다한 것입니다.
매순간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고통을 감내해야하는
정신적 소모가 큰 직업군입니다.
그럼에도 PD의 매력은 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 감정, 느낌, 의견 등을
프로그램을 통해서 표출할 수 있다는 겁니다.
PD를 한 용어로 해석을 하지 않고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예술가적 PD
2. 기술적 PD
3. 저널리즘 PD
4. 작가적 PD
5. 사장마인드적 PD
PD가 되는 법
그 첫번째 이시간
PD 의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5가지 PD유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술가적 PD...
미적감각이 있는 PD는 화면구성에 있어서
자막, 효과적인 즉, 비쥬얼적인 구성을
잘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두번째, 기술적 PD...
카메라세팅부터 종합편집까지의 전반적인
편집의 기술등을 익히는 PD
관련 제작스텝들과의 협업을 잘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세번째, 저널리즘 PD
소위, VJ라 하는 사람들을 칭하는 말인데요.
진실 본질에 대한 탐구가 있어야 되는
PD가 가져야할 궁극적인 내용을 잘 파악하게 됩니다.
네번재, 작가적 PD
작가적인 마인드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
구성에서부터 출연자의 상황묘사라든지
섬세하고 꼼꼼한 부분을 신경써서
프로그램의 구성을 탄탄히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장마인드적 PD
PD라는 직업은 전반적인 프로그램 제작을 총괄하는 점에서
회사의 사장과 그 역할이 비슷합니다.
상품을 만들고 기획하고 마케팅하고 홍보하고
그래서 물건이 잘 팔리게끔 만드는 회사의 사장같은 PD
그러나 너무 제왕적인 오더를 남발하면
제작스텝들과의 불협화음으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떨어뜨리기에
적당한 리더십을 적용해야 합니다.
'영상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 불공정거래 현황 파악중... (0) | 2017.08.11 |
---|---|
mbc판 블랙리스트 누가 작성했나? 공개문건를 봤더니? 방송계에서도 이런일이... (0) | 2017.08.09 |
롯데월드타워에 펜탁스 카메라 체험존이 있다네요. (0) | 2017.03.31 |
한국 성형전문 1인 미디어방송, 중국 진출 실시간방송 1위 달성 (0) | 2016.09.29 |
케이블TV업계의 위기, 돌파구는 없나? (0) | 2016.09.26 |
최근댓글